2433 |
악성코드 정보 |
MicroSoft OneNote 파일을 통한 악성코드 유포 |
|
분석팀 |
2023.02.09 |
83306 |
2432 |
보안동향 |
계속되는 DDoS 공격에 Tor 및 I2P 네트워크 타격 입어 |
|
분석팀 |
2023.02.09 |
3184 |
2431 |
보안동향 |
악성 게임 모드, 플레이어를 멀웨어에 감염시켜 |
|
분석팀 |
2023.02.09 |
3347 |
2430 |
보안동향 |
우크라이나에서 새로운 Graphiron 정보 도용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러시아 해커 |
|
분석팀 |
2023.02.09 |
2484 |
2429 |
보안동향 |
CERT-UA, 우크라이나 정부에 Remcos 소프트웨어로 인한 사이버 공격 경고 |
|
분석팀 |
2023.02.09 |
3129 |
2428 |
취약점 정보 |
[Exploit] CVE-2022-40684 Fortinet Authentication Bypass |
|
분석팀 |
2023.02.08 |
6231 |
2427 |
보안동향 |
Medusa 봇넷, 랜섬웨어 기능 가진 Mirai 기반 변종으로 돌아와 |
|
분석팀 |
2023.02.08 |
3852 |
2426 |
보안동향 |
Clop 랜섬웨어 결함 존재, Linux 사용 피해자 몇 개월 동안은 파일 복구 가능해 |
|
분석팀 |
2023.02.08 |
3761 |
2425 |
보안동향 |
Sunlogin의 취약점을 악용하여 Sliver C2 프레임워크 배포하는 해커 |
|
분석팀 |
2023.02.08 |
3761 |
2424 |
보안동향 |
새로운 QakNote 공격, Microsoft OneNote 파일을 통해 QBot 멀웨어를 배포 |
|
분석팀 |
2023.02.08 |
390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