5225 |
보안동향 |
LinkPro 리눅스 루트킷, eBPF를 이용해 은폐하고 '매직 TCP 패킷'으로 활성화 |
|
분석팀 |
2025.10.17 |
30 |
5224 |
보안동향 |
북한 해커, 블록체인 스마트 컨트랙트에 악성코드 은닉 |
|
분석팀 |
2025.10.17 |
25 |
5223 |
보안동향 |
가짜 LastPass·Bitwarden 보안 침해 알림, PC 탈취로 이어져 |
|
분석팀 |
2025.10.16 |
38 |
5222 |
보안동향 |
100개 이상의 VS Code 확장 프로그램, 개발자를 숨겨진 공급망 위험에 노출시켜 |
|
분석팀 |
2025.10.16 |
53 |
5221 |
보안동향 |
암호화폐 탈취 악성 VSCode 확장 프로그램, OpenVSX에 재등장 |
|
분석팀 |
2025.10.15 |
59 |
5220 |
보안동향 |
신규 안드로이드 취약점 Pixnapping, 권한 없이 2FA 코드 탈취 가능 |
|
분석팀 |
2025.10.15 |
104 |
5219 |
보안동향 |
러스트(Rust) 기반 신종 악성코드 'ChaosBot', 디스코드 채널 악용해 PC 원격 조종 |
|
분석팀 |
2025.10.14 |
89 |
5218 |
보안동향 |
Astaroth 뱅킹 트로이목마, 인프라 중단 후에도 GitHub를 악용해 활동 지속 |
|
분석팀 |
2025.10.14 |
99 |
5217 |
보안동향 |
Stealit 멀웨어, 게임 및 VPN 설치 파일 통해 Node.js 단일 실행 파일 기능 악용 |
|
분석팀 |
2025.10.13 |
111 |
5216 |
보안동향 |
CL0P 연계 해커, Oracle 소프트웨어 취약점 통해 수십 개 기관 침해 |
|
분석팀 |
2025.10.13 |
8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