침해사고분석팀ㅣ2022.07.05
보안 동향 ㅣ AstraLocker 랜섬웨어 종료 및 복호화 해제
침해사고분석팀ㅣ2022.07.05
침해사고분석팀ㅣ2022.07.04
침해사고분석팀ㅣ2022.07.04
침해사고분석팀ㅣ2022.07.01
보안 동향Google Play Store에서 Wormable 악성 앱 발견되다. | ||||
작성일 | 2021-04-08 | 조회 | 4121 | |
---|---|---|---|---|
보안 연구원들이 공식 Google Play Store에서 악성 행위를 수행할 수 있는 Wormable Android 악성 앱을 발견했다. Checkpoint 연구진들은 "해당 앱은 Flix Online라는 이름으로 불리고 있으며 공격자가 운영하고 있는 WhatsApp 메시지를 통해 명령을 수신받아 행위를 수행한다." 고 밝혔다. Netfilx 로 위장된 앱은 가짜 로그인 화면을 만들 수 있도록 권한을 요청하기도 하는데, 이는 WhatsApp에서 발생하는 알림을 숨기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.
기기가 감염에 성공하면 악성 링크를 생성해 등록된 타 전화번호로 확산을 시도, 사용자의 WhatsApp 계정에서 데이터를 도난 등 여러 악성 행위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. 현재 해당 앱은 Store에서 삭제되었지만, 두 달 동안 총 500건의 다운로드가 발생했다.
WhatsApp을 C&C 서버로 사용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. 2021년 1월, ESET 보안 연구원들은 화웨이 기반 모바일에서 WhatsApp C&C 기반 악성 앱을 발견한 바 있다. 해당 앱 또한 WhatsApp의 알림을 숨기기위한 권한을 별도로 요청했으며 공격 수법이 동일했다.
보안 연구원인 Hazum은 "악성코드가 별다른 어려움 없이 위장을 성공했고 Google Play Store의 보호를 우회할 수 있었다는 것은 심각한 문제다. 비록 악성 앱의 배포는 중단했지만 다른 곳에 숨겨져 활동하고 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실정이다." 고 언급했다. 또한, 신뢰할 수 있는 연락처에서 보낸 링크나 첨부 파일을 다운로드 하는 것도 주의를 요한다고 덧붙였다.
출처:
https://thehackernews.com/2021/04/whatsapp-based-wormable-android-malware.html
|
||||
첨부파일 | 첨부파일이 없습니다. | |||
![]() ![]() ![]() |
||||
태그 | Wormable |